모니터링 툴은 https://github.com/junegunn/redis-stat 를 사용해서 모니터링 함 redis 버전 : 3.0 GUESTOS : osx 요세미티 가상 OS : 우분투 14.04 ram(2gb) cpu(2core) redis 구성 : 1 master 1 slave 총 2대 jedis를 이용해서 set코드를 생성후 set 첫번째 시도 가용메모리를 넘어서도 계속 사용가능 확인 해보니 swap영역을 사용 두번째 swap영역을 off후에 테스트 메모리 사용량이 초과면 자동으로 Redis서버가 정지 아래의 에러메시지 출력 마스터만 정리 슬레이브는 미정지됨 가용메모리를 초과되지 않음 [2015/04/20 15:32:58@127.0.0.1:6379] Error connecting to Redis on 127.0.0.1:6379 (ECONNREFUSED) 위 내용은 최대 메모리 정책을 적용 안시켰을때 이다. 정책은 아래에서 확인 할수 있다 http://redis.io/topics/lru-cache
드라이브를 mysql로 수정하면 정상 동작한다. 나중에는 invalid callable syntax 에러가 계속 나고 있었다. { call TEST ( #{day, mode=IN, jdbcType=DATE, javaType=String} ) } 위에처럼 다른DB에 호출시에는 중괄호가 들어가서 정상적으로 동작했는데 저 중괄호가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중괄호를 뺀후에는 정상적으로 동작이 되었다. 해당 에러에대해서도 mysql jdbc드라이버가 좀더 자세한 에러를 보여주고 있었다 결론은 maria jdbc보다 mysql jdbc를 사용하자
성능 시험 중 커넥션이 자주 끊기는 에러가 나고 있었다. 1000TPS 30분에 두세번 정도 끊기고 있었다. 그래서 커넥션 풀에 testOnBorrow 설정을 true로 설정 해서 에러를 막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