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__author__ = 'sanaes' import psutil def killUplusApp(): killProcessName = [ 'SDSMan.exe' , 'ComAgent.exe' , 'DSCNTSRV.EXE' , 'PIAgent.exe' , 'PIProtectorNS64.exe' , 'PISupervisor.exe' , 'PaTray.exe' , 'PaSvc.exe' ] for p in psutil.process_iter(): for kpn in killProcessName: if p.name() = = kpn: print p.kill # print p.terminate() killUplusApp() |
IT/SERVER
- 로컬에 있는 프로세스 죽이기 2015.10.16
- tar 압축/풀기 2015.09.25
- 리눅스 로그 systemlog file로 남기기 2015.09.25
- iconv를 이용해서 파일 인코딩 변경 2015.09.25
- iptables을 사용하여 80포트 일반계정에서 사용 2015.09.25
- 우분투 JDK 설치후 설정 2015.09.25
- 포트 확인 2009.01.08
- unix permissions 2009.01.08
로컬에 있는 프로세스 죽이기
2015. 10. 16. 17:39
tar 압축/풀기
2015. 9. 25. 10:41
압축 풀때
.tar확장자 tar xvf <파일명>
압축 할때
.tar확장자 tar cvf <파일명.tar> <압축할 폴더명>
압축풀기 -x(extract)
압축 -z(없으면 압축하지않고 단순 묶음(tar))
퍼미션 -p(파일이나 폴더의 퍼미션까지 압축
리눅스 로그 systemlog file로 남기기
2015. 9. 25. 10:34
리눅스 로그 systemlog file로 남기기
node server.js 9090 >> log.txt &
iconv를 이용해서 파일 인코딩 변경
2015. 9. 25. 10:29
#인코딩 변경
iconv -f cp949 -t utf8 json_code.properties > json_code.properties.utf8
iptables을 사용하여 80포트 일반계정에서 사용
2015. 9. 25. 10:26
port 80번의 경우 root권한으로만 가능하므로
일반계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라우팅테이블을 수정한다.
iptables -t nat -I PREROUTING -p tcp --dport 80 -j REDIRECT --to-ports 8080
iptables -t nat -I OUTPUT -p tcp --dport 80 -j REDIRECT --to-ports 8080
우분투 JDK 설치후 설정
2015. 9. 25. 09:30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
포트 확인
2009. 1. 8. 18:03
netstat -na
참 서버에대해서 암것도 몰랐던것 같다 이런 간단한 명령어 조차 모르고 지냈다.
unix permissions
2009. 1. 8. 17:48
1 --x execute
2 -w- write
3 -wx write and execute
4 r-- read
5 r-x read and execute
6 rw- read and write
7 rwx read, write and execute
http://en.wikipedia.org/w/index.php?title=File_system_permissions